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소아청소년과 대끊길 위기...수련 병원 절반 이상 교수들 직접 야간 당직

    소아청소년과학회 "24시간 응급실 정상 운영가능 한 곳 38%에 불과...전공의 공백으로 진료체계 붕괴 우려"

    기사입력시간 2022-03-18 14:13
    최종업데이트 2022-03-18 14:13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최근 전공의 지원 급감으로 수년 내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대가 끊길 수 있다며 정부에 소청과 전담전문의 제도 활성화와 이를 위한 응급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소청과학회는 17일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인력 공백으로 인한 진료체계 위기’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현재 소청과가 처해있는 상황의 심각성을 설명했다.

    실제로 저출산 기조와 고질적 초저수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소청과 일차의료기관들은 2년여 동안 이어진 코로나 유행과 함께 벼랑 끝으로 몰렸다. 개원가 상황이 악화된 영향으로 소청과 전공의 지원률도 지난 2019년 80%에서 올해 27.5%로 급감했다. 학회는 현재 상황을 수년 내에 국내 소청과 전문의의 대가 끊어질지도 모르는 심각한 위기 상태로 보고있다.

    지난 1월 소청과 전공의 수련병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근무 중 수련포기 및 중도사직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지원이 줄어든 데 따른 근무 여건 악화 등의 여파가 기존 인력들의 이탈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는 전체 정원의 56%의 소청과 전공의 인력만이 업무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학회는 올해 3월부터 수련과정을 3년제로 개편하는 결단을 내렸지만 전체 수련병원의 72%에서 전공의 지원이 전무했다. 이 같은 현실을 고려하면 향후 1~2년 내에 상급수련병원 소아청소년과 진료체계는 붕괴 위기에 처할 것이란 게 학회의 예측이다.

    전공의 인력 미달로 인한 공백은 교수들이 메우며 버티고 있다. 지난 1월 기준 전국 수련병원 중 62%에서 교수들이 직접 야간 당직을 시작했다. 2주에 한 번 이상 당직을 서는 곳이 50%, 매주 당직을 서는 곳도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주간환자 진료에 여파가 이어지는 것은 물론,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소청과 진료 축소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소아응급실의 경우 전문 인력 부족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전국 상급수련병원 중 시간제한 없이 24시간 응급실을 정상 운영할 수 있는 곳은 38%에 불과하고, 10곳 중 6곳이 시간제한, 연령제한 등 비정상 진료를 하고 있다.

    부산, 대구, 대전 같은 광역시 소재 상급병원도 2년 연속 소청과 전공의가 없는 곳이 속출해 진료 공백이 시작됐으며, 수도권인 경기도에서도 소아응급실이 문을 닫은 병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학회는 이 같은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전공의에 의존하는 진료체계에서 벗어나 소청과 전담전문의 중심의 시스템으로 전환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상급수련병원의 소청과 중 입원전담전문의가 1인 이상이라도 근무하는 의료기관은 서울32%, 지방 21%에 불과해 부족한 전공의 인력을 대체하기는 역부족이다. 국내 1000병상 미만 규모 의교기관 소속의 소아응급실에서 전담전문의 진료체계가 운영되는 비율도 33%에 그친다.

    그나마 신생아중환자실 전담전문의 고용지원 시범사업이 시작될 예정이지만, 소아청소년 병동과 응급실 및 소아전용 중환자실의 전담전문의에 대한 정부의 지원 계획은 현재까진 없는 상황이다.

    이에 학회는 “소아청소년과 응급실이 24시간 전문의 응급진료로 전환돼야 한다”며 “또한 신생아중환자실, 소아중환자실 및 중증소아청소년 환자의 입원진료는 신속하게 전담전문의 중심진료체계로 전환돼야 전공의 지원율의 등락과 관계없이 소청과 진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이에 학회는 ▲전담전문의 충원을 위한 직접적인 고용 재정 지원 ▲전문의 중심진료를 위한 진료 보조인력 고용 지원 ▲중증도에 맞는 진료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입원진료비 수가 중증도 가산 정책 ▲소아청소년 진료수가 정상화 추진 ▲소아청소년 건강정책 수립에 소청과 전문의 참여 증대 및 소아청소년 담당부서 설립 ▲필수의료 기본 가산 지원 등을 응급지원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학회는 끝으로 “절박한 상황에서 회원들을 독려하며 소아청소년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버티고 있으나, 학회나 소청과 전문의들의 노력만으로 회복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님은 분명하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정책 제시로 죽어가는 소청과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주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읍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