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국내 당뇨병 환자가 당초 예상보다 30년 일찍 600만명을 넘어서면서 '당뇨병 대란'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는 6일 지난 5월 발표한 당뇨병 팩트 시트(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1) 내용에 대해 소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학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는 약 600만 명이다. 학회가 2012년 당뇨병 팩트 시트를 발행했을 당시 2050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 환자수(591만명)를 30년 앞서 추월했다. 2010년 당뇨병 환자수가 312만명이었는데 10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당뇨병의 고위험군인 당뇨병전단계의 인구가 약 1583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국민 2000만명 이상이 당뇨병 또는 당뇨병 위험에 처해있는 셈이다.
초고령 사회를 목전에 둔 가운데 2020년 기준 전체 당뇨병 환자 중 65세 이상은 39.2%를 기록했다. 특히 65세 이상 여성의 경우 2명 중 1명 이상(51.2%)이 당뇨병을 앓고 있어 노인 당뇨병 관리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당뇨병의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는 가운데, 당뇨병으로 인한 진료비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당뇨병 진료비는 2015년 약 1조 8000억 원에서 2020년 약 2조 9000억 원으로 5년 새 60% 이상 증가했다. 당뇨병은 한국인에게 질병부담이 가장 큰 질환으로 지난 10년 동안 질병부담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당뇨병 관리는 ‘낙제점 수준’이란 지적이 나온다.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의 비율이 높고 이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당화혈색소, 혈압, 콜레스테롤 등이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2020년 기준 당뇨병이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자는 10명 중 1명(9.7%)에 그쳤다.
특히 당뇨병의 진단과 관리의 핵심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목표 범위인 6.5% 미만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자는 24.5%에 불과했다. 당뇨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적극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대한당뇨병학회 원규장 이사장은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이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과 같은 다른 만성 질환 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부터 통합적이면서 적극적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뇨병은 개인이 질환이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할 필수 질환이다. 2050년 예상치를 30년 앞서 추월했다는 것은 당뇨병 대란을 막아낼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음을 시사한다”며 “현 상황을 심각한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고 정부와 전문가 그룹이 모여 현실적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