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가 의정합의 이후 해산될 예정이었으나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의 저지로 확대 운영하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의료계 관계자에 의해 공개된 회의 녹취록 일부에 따르면, 이날 범투위 4차 회의에서 새로운 대전협 공동비대위원장 5인 중 1인이 범투위 해산에 문제를 제기하며 투쟁을 그만둘 수 없다고 강력하게 항의했다.
대한의사협회에 따르면 범투위는 정부의 4대악 의료정책(공공의대 설립, 의대정원 확대,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저지를 위해 보다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직역을 망라한 범의료계 차원의 특별위원회로 출범했으며, 지난 2차례의 전국의사총파업을 비롯한 범의료계 투쟁의 선봉에서 역할을 수행했다고 자평했다.
범투위는 지난 투쟁의 결과물인 9월 4일 의·여·정 합의 이후 합의사항 추진 및 이행여부 감시를 담당하기 위한 새로운 특별위원회를 구성할 필요성이 대두됐으며, 기존 범투위 해산이 안건으로 올라왔다. 범투위 위원장은 의협 최대집 회장이 겸임하고 있다.
의협 최대집 회장은 “범투위로 투쟁력을 확인했다. 이제는 정부와의 합의사항을 철저히 점검하고 이행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움직임을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의정협의체가 만들어지면 실무적인 위원이 많이 필요하고 여기에 직원들의 지원이 필요하다. 의정협의체가 만들어지고 주요 현안이 다뤄지면 정책적 전문성을 가진 의사들이 더 있어야한다"라며 "새로 구성되는 조직에는 정책적 지원이 많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최 회장은 “범투위를 해산하고 보다 정책적인 문제를 다루는 조직이 필요하다. 범투위를 해산하더라도 투쟁을 중단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음에 만들어지는 조직 역시 투쟁조직이다. 보다 더 큰 규모의 정책과 투쟁, 조직강화를 함께 이어가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많이 있고 투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범투위를 왜 해산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며 “합의 과정은 100% 만족하지 못했고 오히려 100% 불만족에 가깝다. 단지 투쟁력을 확인하려고 투쟁한 것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대전협 비대위는 “투쟁 중단 이후에 전공의들이 많이 병원을 그만뒀다. 의정부성모병원 인턴 1명, 일산백병원 인턴 1명 소아과 1명 외과 1명, 계명대 동산병원 외과 1명, 광주기독병원 인턴 1명, 대구파티마병원 등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병원을 그만뒀다”고 호소했다.
대전협 비대위는 “최대집 회장은 그만둔 전공의들에게는 어떤 해결책이 있나”라며 “파업 중단 이후 정리가 안됐는데 왜 급하게 범투위를 해산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대전협 비대위는 “합의문이 뭔가 잘못됐고 이 과정에서 잡음이 있었다는 것은 다들 동의한다. 이 과정에서 전공의들이 상처를 입었고 학생들이 상처를 입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고 강조했다.
대전협 비대위는 “의정협의체에 대한 정책 감시체계는 범투위와 같이 할 수 없는 것인가. 범투위가 해산한다는 것을 전공의들이 들었을 때 투쟁을 위해 1보 후퇴, 2보 전진으로 받아들일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대전협 비대위의 문제제기에 따라 최종적으로 범투위 해산이 아니라 확대해 운영하는 것으로 최종 의결됐으며, 의료계 일각에서는 대전협 신비대위에 힘을 실어주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범투위 관계자는 "범투위 해산안이 올라왔지만 위원들 전반적으로 확대, 강화하는 방향으로 공감대가 형성돼 의견이 모아졌다. 젊은 의사들의 범투위 위원 비중을 늘려 새롭게 재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