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코로나19 이외 환자는 병원 방문을 꺼려 병을 키우고 있다"

    이제는 봉쇄전략에서 완화전략으로...사망률 0.6%는 계절 독감 수준

    [칼럼] 이성순 일산백병원장·호흡기내과 전문의

    기사입력시간 2020-03-05 06:33
    최종업데이트 2020-03-05 07:0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 글은 전적으로 개인의 주관적 의견이고 부정확한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하는 견지에서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혹시 다른 의견을 주신다면 생각하지 못한 점, 추론에서 부족한 점 등을 깨달을 수 있을 것 같아 감사하겠습니다.

    1단계 봉쇄 전략

    코로나19는 인류에게 처음 돌기 시작한 병이다. 그 위험도, 전염력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최대한의 봉쇄전략과 자원을 투입하는 것이 당연하고 국가적으로 잘 해왔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의 뼈아픈 경험이 있기에 사회적으로 걱정과 우려가 컸고 모두가 검역과 방역에 동의했다.

    2단계 완화 전략: 위험성, 사망률에 대한 결과 중심으로  

    3월 이제 우리나라는 광범위한 지역사회 감염이 정착된 단계다. 

    초기에는 코로나19의 특성과 위험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제는 위험성을 재평가해 이에 맞는 대응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세계보건기구(WHO)가 가장 최근에 낸 보고서를 보면 2월20일까지 중국 감염자 5만5924명 자료 중 사망율 3.8%로 상당히 위험해 보인다. 그러나 세부분석을 보면 우한 지역이 5.8%이고 우한 이외 중국은 0.7%다. 

    시기별로 보면 1월 초에는 17.3%에서 2월1일 이후에 확진된 중국 전체 환자의 사망률은 0.7%로 급격한 감소세를 보인다. 우리나라의 사망률은 3월 1일 현재 0.6%(사망 32명/전체 5328명)이다.

    그러면 0.6%의 사망률을 보이는 코로나19는 얼마나 위험한 질병인가.
     
    메르스 2015년 사망률 20% (38명 사망, 186명 발생)
    신종플루 2009년 사망률 0.07% (260명 사망, 74만명 진단)
    독감 우리나라의 독감으로 인한 연관 사망자수(2009~2016) 4344명/년
    호흡기-순환기 사망자수(respiratory deaths) 2344명/년 
    폐렴 사망자수(Pneumonia deaths) 701명/년
    결핵 매년 26만명 신환 발생, 2600명 사망
    미국 2019-2020 시즌 독감 2600만명 발생, 1만4000명 사망

    2009년 신종플루가 유행할 당시 전국이 지금보다는 덜하지만 그야말로 ‘패닉‘ 상태였다. 2009년 유행 당시 기사를 보면 미국의 신종플루 치사율 1.2%, 전세계 평균 0.5%로 매우 위험하다고 미디어에서 난리였다. 현재 코로나19와 비슷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신종플루 유행이 종료된 이후 우리나라의 최종 결과는 위에서 보듯이 0.07%였다. 

    유행이 경과할수록 경증 진단이 많아지며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현재의 우리나라 치사율 0.6%를 적용하다고 할 때 전염력이 강한 신종플루와 같이 74만명이 감염되고 X0.6%= 예측 사망자수 4440명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독감으로 인한 연관 최근 7년간 연평균 사망자수 4344명 수준이다. 즉 매년 경험하는 계절성 독감과 위험도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독감 환자를 진료했다고 의료진을 14일 자가격리하고 병원에 독감 환자가 여러명 나왔다고 병원을 폐쇄하고 전국의 모든 학교를 휴교하지는 않는다. 독감환자 1명이 백화점에 지나갔다고 백화점을 문 닫지는 않는다.

    물론 코로나19의 치사율이 지금보다 높아질지, 낮아질지는 알 수 없다. 치사율이 높아질 가능성에 대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조금은 과도하게 할 수 있다.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 대한 대가가 너무 크다. 당장 많은 다른 중증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원에 오기를 꺼려해 정작 다른 폐렴 환자들이 병을 키워 중증이 되어 응급실로 온다. 경제적 부작용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지금의 격리, 대응 방식을 유지한다면 의료전달체계 붕괴되고 병원이 정상적인 진료가 불가능해지고 코로나19 이외의 환자는 진료 시기를 놓쳐 큰 부작용이 우려된다.

    우리가 의학 논문을 볼때 우리나라의 3500례 이상이면 충분히 근거를 갖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자료가 아닌가. 이제 너무 두려워하지 말고 일반적인 독감에 준해 환자를 진료하고 치료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하지 않을까. 일반적인 보호기준 (universal protection)으로 의료진과 환자가 모두 마스크를 사용하고 일상적인 진료를 병원에서 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단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인 고령, 심혈관질환, 폐질환 가진 환자는 경증이라도 입원시키고 이외는 외래에서 진료해야 한다. 지금의 격리 수준으로는 득보다 실이 많을 것 같아 우려스럽다.

    끝으로 서울의대 허대석 교수께서 2015년 메르스 당시 기고하신 내용을 일부 인용한다. 

    “국제보건기구나 미국 질병관리본부는 불확실성의 문제를 다룰 때는 위험 소통(risk communication)의 원칙을 지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건강을 위협하는 이슈에 대해 국민들의 불필요한 공포심을 자극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보다 불필요한 불안감만 더 조성한다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기 때문이다. 

    2009년 미국에서만 6000만명이 신종플루로 확진됐고 이중 1만2469명이 사망했다고 최종 집계됐다. 그러나 신종플루에 대해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매년 계절독감으로 사망한 환자수(연평균 2만3607명)와 신종플루로 인해 증가한 사망자수를 전문가가 비교분석한 자료를 웹사이트에 매일 공개했을 뿐 우리나라처럼 모든 언론매체가 앞다퉈 사망자수와 확진자의 이동경로까지 발표하는 일은 없었다.”


    ※칼럼은 칼럼니스트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메디게이트뉴스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