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료계 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가 의대생들의 의사국가시험(국시) 재응시와 관련해 특별한 입장을 내지 않기로 했다. 다만 내년에 2700명의 인턴 미배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앞으로 이어질 의료대란의 문제점을 짚고 의료계의 단합된 목소리를 내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조직구성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8일 열린 범투위 회의 결과에 따르면 의대생 대표단의 요청에 따라 의대 국시와 관련한 별도의 입장을 내거나 단체행동은 하지 않기로 했다. 하루 전인 7일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임시대의원총회도 마찬가지로 국시 문제와 관련한 특별한 계획을 마련하지 않고 마무리됐다.
다만 범투위는 의대생들의 국시 문제가 내년 한 해 2700여명의 의사배출 감소만의 문제가 아니라 향후 지속적으로 지역의료 취약성, 필수의료 문제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코로나사태 대응과 관련해 필수불가결한 문제라는데 뜻을 모았다. 정부가 국민들에게 이 같은 문제를 명백하게 알리고, 구체적인 대안책을 마련해 설명해야 한다며 대정부 투쟁과 협상 태세를 갖추기 위해 조직을 정비하기로 했다.
범투위 관계자는 “의료계는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정책의 실현을 위해 투쟁을 했다. 이에 따른 협상안 실행을 위한 의정협의체는 합의문에 명시된 대로 코로나 안정화 이후 구성돼야 하며, 협상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정부가 해야 한다”라며 "의료계는 범투위를 통해 하나되고 단합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범투위 공동위원장은 의협 대의원회 임장배 부의장, 의협 안덕선 의료정책연구소장, 강석태 강원도의사회 회장, 대한의학회 박정율 부회장, 대한전공의협의회 한재민 회장,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조승현 회장 등 6인이다. 부위원장인 부산광역시의사회 강대식 회장이 협상단장을 맡았고 협상단을 비롯해 분과위원회, 소위원회 구성을 조속히 확정하기로 했다.
범투위 중앙위원은 대략 30명 가량으로 의협 집행부, 대의원회, 시도의사회장, 개원의협의회, 한국여자의사회, 의학회, 의과대학교수협의회, 전임의협의회, 대전협, 의대협 등 기관 추천에 따라 구성됐다. 이 중 대전협 추천 위원 수는 4인, 의대협은 2인을 추천해 젊은의사와 의대생들의 비중을 늘렸다.
특히 의협 대의원회 추천 2명 중 대전협으로 2명을 늘려 전공의는 위원장까지 7명이 추천됐으며 전공의들이 회의에서 의대생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10월 30일 의협이 마련한 연석회의에서는 본4 의대생 대표 이지훈 학생이 참석, "국시와 관련한 상황은 잘못된 의료환경 및 정책을 바로잡기 위한 단체 행동의 일환 및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 본질"이라며 "의대생들은 국시 문제가 의료계와 정부 사이의 협의체 구성에 발목을 잡거나 마찬가지로 협의에 유·불리 요인이 되는 것 역시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