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다가오면서 제약바이오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인류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단일의 컨트롤 타워 구축이 절실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가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추진위원회 송시영 위원장(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정책보고서를 통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제약바이오강국으로 가는 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송 위원장은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도 대규모 진단검사의 신속성, 높은 국민의식, 전국민 의료보험제도에 따른 개인별 진료 정보의 활용, 보건의료인의 헌신 등으로 성공적인 방역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세계 최고의 보건의료정보 보유국임에도, 제약바이오산업의 융합 연구개발에는 많은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우선 "마지막 임상시험 현장으로만 인식돼온 병원을 신약개발의 시작점으로 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산·학·연 상새의 틀을 구축하고 이를 저해하는 원인과 규제를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뿐 아니라 신약개발을 지속적으로 이어가 글로벌 도약을 할 수 있는 초석 마련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코로나19 치료제 뿐 아니라 급성 전염병 신약은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확산이 멈추면 수익을 내기 어렵고 변종 바이러스들에 대응하는 범용 약제의 개발도 매우 어렵다"며 "그럼에도 기업들이 신약개발의 긴 과정과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 임상시험 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고려는 없이 이 때다 싶어 공수표를 너무 일찍 날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의 약점은 조급하고, 전주기적 단계별 융합도 조율되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화가 너무 앞서가고 있다는 점"이라며 "바이오헬스 산업의 동기와 궁극적인 목표는 ‘산업성공’이 아니라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구하기 위해서’야 하는데, 타 산업 진흥 과정과 동일시되며 가시적인 '산업화 성공'이 우선시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환경 탓에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우수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기초원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약해질 수밖에 없고, 대학은 강한 특허와 논문의 창출보다는 가시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양산을 유발하면서 다양한 아이디어 새싹이 자랄 수 있는 텃밭을 만들지 못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각 부처의 주력 학문 분야간의 연구비 확보를 위한 대학 내, 연구소 내, 대학-연구소간 연구자들의 인위적 한시적인 융합만 이어지고 있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할 수 있는 근본적인 융합생태계가 없어 선진국과 경쟁력 차이는 심화되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송 위원장은 "추격형 기술 위주의 연구개발만으로는 세계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다. 연구자 각자의 자그마한 꿈은 그릴 수 있을지 몰라도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강건한 산업기반을 구축할 수 없다"며 "기초, 중개, 임상 연구 저변을 국가와 기업이 함께 키울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저해하는 여건을 과감히 개선하고, 융합이 필요한 보건의료 연구개발 및 산업화에 있어서는 국가의 단일 컨트롤 타워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미국에서 국립보건원(NIH) 단일기관이 총괄 기획·관리하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여러 부처로 분산돼 있다. 과제 신청 서식, 평가, 관리 방법 등은 부처마다 달라 시간과 노력은 배가되고 있다"고 했다.
송 위원장은 "뭉치면 코로나19는 물론 암, 만성질환, 급성 감염병 등을 극복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 중인 제약바이오산업에서 인정받는 결과물을 낼 수 있고, 더 나아가 보건의료 연구개발의 궁극적인 목표인 국민 건강에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대유행 종료 후 공공의료의 확충,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 의료인의 수 증대, 원격진료 허용 등 의료계에서는 긍정적이지 않을 많은 대책들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의료현장의 문제점을 떠나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산업에서 변화를 이끌 동력을 다시 조명해야 할 중요한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이를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이 마련을 제안했다.
국가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추진위원회 송시영 위원장(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정책보고서를 통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제약바이오강국으로 가는 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송 위원장은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도 대규모 진단검사의 신속성, 높은 국민의식, 전국민 의료보험제도에 따른 개인별 진료 정보의 활용, 보건의료인의 헌신 등으로 성공적인 방역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세계 최고의 보건의료정보 보유국임에도, 제약바이오산업의 융합 연구개발에는 많은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우선 "마지막 임상시험 현장으로만 인식돼온 병원을 신약개발의 시작점으로 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산·학·연 상새의 틀을 구축하고 이를 저해하는 원인과 규제를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뿐 아니라 신약개발을 지속적으로 이어가 글로벌 도약을 할 수 있는 초석 마련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코로나19 치료제 뿐 아니라 급성 전염병 신약은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확산이 멈추면 수익을 내기 어렵고 변종 바이러스들에 대응하는 범용 약제의 개발도 매우 어렵다"며 "그럼에도 기업들이 신약개발의 긴 과정과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 임상시험 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고려는 없이 이 때다 싶어 공수표를 너무 일찍 날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의 약점은 조급하고, 전주기적 단계별 융합도 조율되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화가 너무 앞서가고 있다는 점"이라며 "바이오헬스 산업의 동기와 궁극적인 목표는 ‘산업성공’이 아니라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구하기 위해서’야 하는데, 타 산업 진흥 과정과 동일시되며 가시적인 '산업화 성공'이 우선시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환경 탓에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우수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기초원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약해질 수밖에 없고, 대학은 강한 특허와 논문의 창출보다는 가시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양산을 유발하면서 다양한 아이디어 새싹이 자랄 수 있는 텃밭을 만들지 못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각 부처의 주력 학문 분야간의 연구비 확보를 위한 대학 내, 연구소 내, 대학-연구소간 연구자들의 인위적 한시적인 융합만 이어지고 있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할 수 있는 근본적인 융합생태계가 없어 선진국과 경쟁력 차이는 심화되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송 위원장은 "추격형 기술 위주의 연구개발만으로는 세계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다. 연구자 각자의 자그마한 꿈은 그릴 수 있을지 몰라도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강건한 산업기반을 구축할 수 없다"며 "기초, 중개, 임상 연구 저변을 국가와 기업이 함께 키울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저해하는 여건을 과감히 개선하고, 융합이 필요한 보건의료 연구개발 및 산업화에 있어서는 국가의 단일 컨트롤 타워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미국에서 국립보건원(NIH) 단일기관이 총괄 기획·관리하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여러 부처로 분산돼 있다. 과제 신청 서식, 평가, 관리 방법 등은 부처마다 달라 시간과 노력은 배가되고 있다"고 했다.
송 위원장은 "뭉치면 코로나19는 물론 암, 만성질환, 급성 감염병 등을 극복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 중인 제약바이오산업에서 인정받는 결과물을 낼 수 있고, 더 나아가 보건의료 연구개발의 궁극적인 목표인 국민 건강에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대유행 종료 후 공공의료의 확충,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 의료인의 수 증대, 원격진료 허용 등 의료계에서는 긍정적이지 않을 많은 대책들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의료현장의 문제점을 떠나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산업에서 변화를 이끌 동력을 다시 조명해야 할 중요한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면서 이를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이 마련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