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지난해 의약품 부작용 보고가 소폭 상승했으며, 이중 해열·진통·소염제에 대한 부작용 보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9년 의약품 부작용 보고 현황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분석 결과 의약품 부작용 보고가 2018년 25만 7438건에서 지난해 26만 2983건으로 약 2.2% 증가했다.
효능군별로는 해열·진통·소염제가 3만 8591건(14.7%)으로 가장 많았고, 항악성종양제(항암제)가 3만 1030건(11.8%),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것(항생제) 2만 1938건(8.3%), X선 조영제 2만 376건(7.7%), 합성마약 1만 8591건(7.1%)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위 5개 효능군 보고건수는 전체의 약 50%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소화성궤양용제, 기타의 화학요법제, 진해거담제, 정신신경용제 등이 뒤를 이었다.
부작용 증상별로는 오심(구역)이 4만 2579건(16.2%)으로 가장 많았고, 가려움증이 2만 7317건(10.4%), 두드러기 2만 604건(7.8%), 구토 2만 133건(7.7%), 어지러움 1만 8860건(7.2%) 등이 주로 많았다. 이어 발진과 설사, 소화불량, 두통 호흡곤란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보고 주체별로 보면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19만 474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제조·수입회사 6만 2441건(23.7%), 병의원 7914건(3.0%), 기타 2098건(0.8%) 순으로 나타났다.
식약처 이의경 처장은 "지난 2012년부터 의약품 부작용보고 자료를 토대로 통계 분석과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필요한 안전조치를 취해왔다"며 "지난해 574개 품목(18개 성분)의 사용상 주의사항 등 허가사항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부작용 보고자료를 분석·평가해 안전사용을 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전국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통해 의약품 부작용 정보를 적극 수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해 보고건수가 증가한 것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통해 부작용 보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한 영향으로 분석했다.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대한약사회 1개소와 서울성모병원, 고대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국립중앙의료원, 한양대병원 등 종합병원 26개소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9년 의약품 부작용 보고 현황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분석 결과 의약품 부작용 보고가 2018년 25만 7438건에서 지난해 26만 2983건으로 약 2.2% 증가했다.
효능군별로는 해열·진통·소염제가 3만 8591건(14.7%)으로 가장 많았고, 항악성종양제(항암제)가 3만 1030건(11.8%),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것(항생제) 2만 1938건(8.3%), X선 조영제 2만 376건(7.7%), 합성마약 1만 8591건(7.1%)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위 5개 효능군 보고건수는 전체의 약 50%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소화성궤양용제, 기타의 화학요법제, 진해거담제, 정신신경용제 등이 뒤를 이었다.
부작용 증상별로는 오심(구역)이 4만 2579건(16.2%)으로 가장 많았고, 가려움증이 2만 7317건(10.4%), 두드러기 2만 604건(7.8%), 구토 2만 133건(7.7%), 어지러움 1만 8860건(7.2%) 등이 주로 많았다. 이어 발진과 설사, 소화불량, 두통 호흡곤란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보고 주체별로 보면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19만 474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제조·수입회사 6만 2441건(23.7%), 병의원 7914건(3.0%), 기타 2098건(0.8%) 순으로 나타났다.
식약처 이의경 처장은 "지난 2012년부터 의약품 부작용보고 자료를 토대로 통계 분석과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필요한 안전조치를 취해왔다"며 "지난해 574개 품목(18개 성분)의 사용상 주의사항 등 허가사항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부작용 보고자료를 분석·평가해 안전사용을 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전국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통해 의약품 부작용 정보를 적극 수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해 보고건수가 증가한 것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통해 부작용 보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한 영향으로 분석했다.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대한약사회 1개소와 서울성모병원, 고대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국립중앙의료원, 한양대병원 등 종합병원 26개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