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후 2년 6개월이 지났고, 그 사이에 백신과 효능있는 치료제가 개발됐다. 변이 특성과 백신, 치료제를 모두 고려해 정책 결정을 하는 게 과학방역 대책이라고 생각한다.”
새정부가 내세우는 ‘과학적 위기대응 방역’이 무엇인지를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한감염학회 김남중 이사장이 28일 오전 질병관리청 주재로 열린 ‘전문가 초청 설명회’에서 과학적 방역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김 교수는 “과학적 방역은 현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모두 모아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다. 중환자와 사망자 수를 최소화 해야한다”며 “자료가 모자란다고 결정을 미룰 수 없고 최대한 갖고 있는 근거에 기반해 대응하는 게 과학적 대응”이라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는 코로나19 재유행 상황에서 자율 방역이 아닌 국가책임을 강화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국가 책임은 일률적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요하는 것만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정 교수는 “오미크론 이후부터는 확산 저지가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방역정책 패러다임이 완전히 전환됐다”며 “확산을 어느 정도 용인하더라도 피해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적용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광범위하고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도 효과가 있지만 큰 사회 경제적 피해가 있었고 현재 정책 방향이 국민에게 가장 피해가 적다는 여러 과학적 합의나 동의가 있었다”며 “국가 책임은 일률적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요하는 것만이 아니다. 의료 및 방역 역량을 미리 확보하고 국민에게 전달하는 게 국가 책임”이라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또 “재유행에 앞서 4차 접종을 독려하고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했으며, 병상을 유연하게 운영할 준비가 어느정도 이뤄졌다”며 “다만 자가격리자 생계 지원, 소외계층 지원, 아프면 쉴 수 있는 문화 등에서는 국가 책임 측면에서 전향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이사장 역시 “현재 방역정책 목표는 중환자 및 사망자 수 최소화인데 중환자와 사망자는 고령층에서 발생한다”며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면 가장 영향을 받는 건 젊은 연령층이고, 따라서 이득보다 손해가 훨씬 크다”고 했다.
다만 “이전 델타 변이나 그 이상의 중증도를 갖는 새 변이가 나타나 빠르게 확산한다면 사망자 최소화를 위해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다시 도입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질병청 백경란 청장은 자율 방역에서는 환자들이 쉽게 치료제를 처방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처방 확대를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 청장은 “실제 치료제에 대해 약물 상호 작용 우려로 의료진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의료진이 더 쉽게 참고할 수 있게 여러 자료와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약물 상호작용 우려가 있는 치료제는 팍스로비드인데, 상호작용이 염려되는 경우엔 이 같은 문제가 없는 라게브리오를 적극 활용하도록 하겠다”며 “환자 처방관리 시스템 편의성도 높여 치료제 처방이 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재훈 교수는 재유행이 정점에 달하더라도 기존 예측처럼 평균 30만명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 교수는 “이번 주 유행의 증가 속도가 많이 감소했다. 이는 1~2주 내에 정점에 도달할 수 있단 의미”라며 “점점의 도달 시기가 조금 빨라지고 유행 규모가 감소할 수 있단 예측을 조심스럽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4차 접종 참여율이 높고, 켄타우로스 변이라 불리는 BA.2.75의 상대적 전파 능력이 우려했던 만큼 높지 않아 BA.2.75가 유행을 주도할 가능성이 조금은 감소하고 있다”며 “아울러 우리 국민들은 오미크론 대유행 때 대부분 감염됐기 때문에, 시간이 그리 많이 경과하지 않아 재감염률도 다른 나라에 비해 조금 낮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