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정부가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치료를 받고 회복한 환자의 혈액으로 혈장치료제를 연구할 계획을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이 밝혔다.
앞서 국립보건연구원은 코로나19 대응 연구를 위해 항체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코로나19 항체 탐지용 단백질 제작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회복기 환자 혈액에 존재하는 중화항체 생산 세포(B세포)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코로나19 항체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권 부본부장은 “혈액 속에 있는 소위 면역세포, B세포에서 코로나19에 대한 항체를 대개 만들어낸다. 그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을 합성해냈다는 것이다”라며 “혈액 속에 항체가 생성됐는지 아닌지, 또 항체가 있다면 얼마나 있는지를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됐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향후에 백신을 개발한다면 몸에 항체가 형성돼야 하기 떄문에 항체가 형성됐는지 볼 수 있다. 치료제도 치료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표의 탐지 단백질이 확보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원했다가 회복한 환자 두 명으로부터 혈액을 확보해 형성된 항체로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연구를 공모하고 있다.
권 부본부장은 “어제 전문가들과 관련 회의를 했다. 대개 환자가 퇴원 후에 평균 한 달 정도가 흐르게 되면 몸에서 급성기에 생기는 면역 글로불린인 IgG라는 항체가 다량으로 왕성하게 생성되는 시기다. 회복했던 환자의 동의 하에 그러한 혈액을 확보하는 것이 연구나 개발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코로나19가 감염병이기 때문에 치료비용이 국가 부담이고, 환자가 국가 입원격리병상을 통해 치료를 받는다. 이 과정에서 대개 의사들과 이해와 협조관계가 이뤄지기 때문에 혈액을 확보하는 데는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15개 기관이 코로나19 치료제와 관련한 기초연구를 9가지를 진행하고 있고 임상연구는 6가지 정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1차 긴급현안과제 공모를 통해 4과제에 4억57만원을 지원했고 2차 긴급현안과제 공모를 통해 8과제, 1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권 부본부장은 “선진국 중심으로 4개국 이상, 34개 기관 정도가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치료제의 새로운 개발도 있지만 기존의 타 감염병 치료 목적으로 사용 중인 치료제를 코로나19에 적용하는 연구도 전문가들의 많은 제안이 있고 외국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18개월 내에 백신 사용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런 희망을 토대로 최대한 국제사회와 협력해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추경 예산 3억원을 투입해 국가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 설립 필요성과 타당성 연구에 돌입한다. 권 부본부장은 “미국의 국립보건원 산하 27개의 분야별 연구소가 있다. 최근에 트럼프 대통령과 같이 등장했던 에이즈 전문가인 앤서니 파우치 박사가 수장으로 있는 국립감염병·알레르기연구소가 어느 정도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권 부본부장은 “분야별 연구소를 통해 백신, 치료제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인 신종 바이러스가 등장할 때마다 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소가 민간과 잘 연계해 외주용역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 기반을 닦아나가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