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다이어트 관련 유전자를 밝히고, 유전자 맞춤형 체중관리 모델을 개발했다.
삼성서울병원 삼성유전체연구소 김진호 박사팀은 비만 관련 유전자 변이에 따라 비만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 수년간 연구 끝에 국제 학술제 뉴트리언츠(Nutrients) 최신호에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8840명이 참여한 연구 코호트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자료를 토대로 비만 관련 유전자 변이 정도와 식이습관, 운동에 따른 체중 감소와의 관계를 살폈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이어트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변이는 모두 100개다. 탄수화물 관련 37개, 지방 관련 19개, 총 칼로리에 영향을 받는 44개, 운동에 반응을 보이는 25개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가 어떤 조합을 이루냐에 따라 다이어트의 효율도 달라졌다.
탄수화물을 적게 먹는 게 도움이 되는 사람, 지방 섭취량을 줄여야 하는 사람, 음식 종류에 상관없이 총 칼로리를 낮춰야 하는 사람,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는 사람 등 유전자 조합을 기준으로 제각각 달랐다.
연구팀은 이를 ▲저탄수화물 식이형 ▲저지방 식이형 ▲저칼로리 식이형 ▲운동형으로 구분했다.
각 유형 안에서도 개인별 관련 유전자 변이의 조합에 따라서 매우 높음 높음, 낮음, 매우 낮음 등 4단계로 나누고, 높음 이상인 경우 해당 유형에 속한다고 봤다.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의 유형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저탄수화물 식이 유형'이고 운동에는 반응이 낮은 사람이 헬스장에 열심히 다니더라도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을 유지하면 살을 빼는 데 성공하기 힘들다. 마찬가지로 '저지방식이 유형'인 사람이 무턱대고 최근 유행했던 저탄수화물-고지방식(저탄고지) 방법을 따라 했다간 살이 빠지긴커녕 오히려 살을 찌울 가능성이 높다.
다만 해당 유형에 속하지 않는다고 나머지 다이어트 방법이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 효율이 떨어질 뿐이다.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력해야 할 다이어트 방법을 우선 정한 뒤 나머지 방법을 보조적 수단으로 병행하면 효과가 극대화된다.
박웅양 삼성유전체연구소장은 "유전자 정보의 활용 범위가 점차 늘어가면서 현대인의 오랜 고민인 비만을 해결하는 데까지 나아갔다"며 "본인에게 맞는 효과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안다면 같은 힘을 들이더라도 더 빨리 목표한 바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