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1일 논평을 통해 국정감사장에서 10조원 규모의 메가펀드 조성과 적극적인 후기 단계 임상지원 체계 필요성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공감과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병원 의원은 "우리나라 제약바이오산업의 기술수출 규모가 지난해 11조 6000억원 수준으로 적지않은 성과를 거뒀으나, 기술수출을 넘어 완제품 개발, 생산, 수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전주기 신약개발을 완료할 수 있는 메가펀드 조성이 필요하다"면서 "10조원의 메가펀드 조성을 통해 임상 3상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최고 수준의 인적자원, 의료접근성, 의료데이터 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현재 정부의 바이오헬스 분야 R&D 지원이 최대 임상 1, 2상까지 이뤄지고 있어 글로벌 신약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정부 주도의 메가펀드 조성을 제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R&D 투자 예산이 상업화 성과를 낼 수 있는 기업보다 대학 또는 출연연구소에 집중돼 있으며, 기업별 지원액이 임상 1상 한 건을 수행하기도 벅찬 금액이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과 김민석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이 강 의원의 지적에 대해 깊은 공감을 표했다.
권덕철 장관은 "정부, 민간이 협업해 메가펀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으며, 김민석 위원장은 "바이오헬스케어가 신산업 3대 분야 중 하나로 발전하기 위해선 집단 면역 달성 이후가 골든타임이다. 국감 이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도로 메가펀드 조성과 클러스터, 백신 허브 추진, 전문인력 양성 문제 등을 별도 보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제약협회는 "글로벌 3상을 하려면 최소 2000억원에서 많게는 1조원의 금액을 투입해야 하는 점을 감안할 때 메가펀드 조성을 통한 대규모 지원이 필요하다는 강 의원 의견에 공감한다"면서 "이미 호주는 정부주도의 약 17조원 규모 펀드 ‘MRFF’를 통해 의료 및 바이오테크 부문 R&D를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홀딩스’는 바이오분야에 20조원을, 이중 임상 3상 단계에 집중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제약협회는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놓여있는 시점에서 국회와 보건당국이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목표에 산업계와 일치단결했다는 점은 뜻깊다"며 "강 의원의 제언이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국회와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효성있는 정책 수립으로 이어지기를 고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제약바이오강국 도약을 위한 3상 임상시험 지원과 10조원대 메가펀드 조성을 촉구하며, 앞으로도 제약바이오산업계는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과 품질혁신 노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겠다"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병원 의원은 "우리나라 제약바이오산업의 기술수출 규모가 지난해 11조 6000억원 수준으로 적지않은 성과를 거뒀으나, 기술수출을 넘어 완제품 개발, 생산, 수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전주기 신약개발을 완료할 수 있는 메가펀드 조성이 필요하다"면서 "10조원의 메가펀드 조성을 통해 임상 3상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최고 수준의 인적자원, 의료접근성, 의료데이터 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현재 정부의 바이오헬스 분야 R&D 지원이 최대 임상 1, 2상까지 이뤄지고 있어 글로벌 신약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정부 주도의 메가펀드 조성을 제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R&D 투자 예산이 상업화 성과를 낼 수 있는 기업보다 대학 또는 출연연구소에 집중돼 있으며, 기업별 지원액이 임상 1상 한 건을 수행하기도 벅찬 금액이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과 김민석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이 강 의원의 지적에 대해 깊은 공감을 표했다.
권덕철 장관은 "정부, 민간이 협업해 메가펀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으며, 김민석 위원장은 "바이오헬스케어가 신산업 3대 분야 중 하나로 발전하기 위해선 집단 면역 달성 이후가 골든타임이다. 국감 이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도로 메가펀드 조성과 클러스터, 백신 허브 추진, 전문인력 양성 문제 등을 별도 보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제약협회는 "글로벌 3상을 하려면 최소 2000억원에서 많게는 1조원의 금액을 투입해야 하는 점을 감안할 때 메가펀드 조성을 통한 대규모 지원이 필요하다는 강 의원 의견에 공감한다"면서 "이미 호주는 정부주도의 약 17조원 규모 펀드 ‘MRFF’를 통해 의료 및 바이오테크 부문 R&D를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홀딩스’는 바이오분야에 20조원을, 이중 임상 3상 단계에 집중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제약협회는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놓여있는 시점에서 국회와 보건당국이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목표에 산업계와 일치단결했다는 점은 뜻깊다"며 "강 의원의 제언이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국회와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효성있는 정책 수립으로 이어지기를 고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제약바이오강국 도약을 위한 3상 임상시험 지원과 10조원대 메가펀드 조성을 촉구하며, 앞으로도 제약바이오산업계는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과 품질혁신 노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겠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