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인구고령화, 만성질환 급증 등으로 의료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의사, 간호사 인력난은 물론 몸값 고공행진으로 향후 원활한 공급이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의료진 업무를 대체 또는 보완하고 의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디지털헬스케어 솔루션 도입 노력들이 잇따르고 있다.
네이버 헬스케어 연구소 차동철 센터장은 지난 23일 메디컬 코리아(Medical Korea) 2023 디지털헬스케어 미래전략 세미나에서 '초거대언어모델 시대에서의 디지털헬스케어'를 주제로 현재 개발 중인 디지털헬스케어 B2B, B2C 모델들을 소개했다.
의사들을 돕는 솔루션을 연구하는 네이버 헬스케어 연구소
차 센터장은 네이버의 디지털헬스케어 파이프라인 소개에 앞서, 2023 주요 키워드는 사용자 특성을 반영한 '퍼스널라이즈드 케어', 접근성을 높이는 '유비쿼터스 케어', 의료진 업무를 절감해주는 '인공지능(AI) 보이스 기술', 효율적 업무 환경을 제공해주는 '헬스케어 워크포스를 위한 AI', 최적화된 개별적 케어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데이터 통합·상호호환' 등이 있다고 밝혔다.
차 센터장은 "이전처럼 동일한 치료방법이 아닌 사용자 특성에 따른 개별 맞춤형 치료를 하고, 원격의료나 가정방문의료 등 환자의 의료접근성을 대폭 낮추고 있다"면서 "언제 어디서나 정신과 진료·상담이 가능한 디지털치료제가 등장했고, AI로 의료진 노동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환경도 구축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의료현장의 디지털화에 따라 지난 2년간 네이버는 디지털헬스케어 파이프라인을 다양하게 구축했고, 현재 사내병원을 통해 테스트를 하고 있는 단계"라며 "메인은 B2B로, 의사업무를 돕는 솔루션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 헬스케어 파이프라인은 B2B의 경우 ▲스마트 서베이 ▲보이스 EMR ▲AI케어콜 ▲환자 써머리,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B2C) 솔루션인 ▲마이헬스 등이 있다.
이중 '스마트서베이'는 환자 병력청취 결과를 EMR에 자동으로 기입해주는 솔루션이다. 이때 환자가 보는 화면에는 알기 쉬운 내용으로 결과가 나오고, EMR에는 의료용어로 변환 후 자동 입력된다.
이를 통해 환자입장에서는 병원 예약부터 방문, 사전문진, 진료, 의무기록관리까지 진료 전반의 과정을 디지털화할 수 있으며, 병원입장에서는 자동으로 환자증상에 대한 EMR 차팅과 상병추천이 이뤄져 원무를 효율화하고 청구 누락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차 센터장은 "이미 네이버 사내병원에서는 해당 솔루션을 통해 진료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환자 대답을 기반으로 추천상병이 나열되면 의사가 컨펌만 하면 되기 때문에 진료시간을 줄이고 의사는 환자진료에만 시간을 활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네이버클로바 노트 기능을 활용해 3000여개의 스크립트를 토대로 순천향대병원과 공동 개발한 '보이스 EMR: 널싱 노트'는 의료용어를 인식하는 보이스 EMR을 통해 음성으로 의무기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SDK를 제공하는 것이다. 95% 정확도로 말하는 내용이 EMR로 들어오기 때문에 챠팅 시간은 물론 인수인계도 바로 이뤄질 수 있어 간호사 격무 해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아가 이를 진료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보완 중이다. 차 센터장은 "궁극적으로는 자동으로 EMR에 진료내용을 축약해 저장하는 형식으로 개발 중"이라며 "이르면 2~3년 안에 해당 솔루션을 통해 의사는 진료실에서 마이크만 켜두고 환자 진료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AI케어콜은 코로나19 대상자 관리업무를 클로바AI가 대체하는 서비스로, 성남시에서의 레퍼런스를 토대로 전국 지자체로 확대 중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질문만 하는 방식이었으나, 현재 대화 기억하기를 적용해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억한 후 이전 답변에 따라 맥락을 이어가는 대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환자(페이션트) 써머리는 환자가 건강검진을 어디에서 받았는지 상관 없이 기존 검진결과를 하나로 요약,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를 한 후 상담하는 의료진이 추적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이는 라지 랭귀지모델 하이퍼클로바를 통해 마련했으며, 코칭 멘트도 제공한다.
차 센터장은 "지금까지 파이프라인은 B2B인데, 마이헬스라는 B2C 솔루션도 준비 중이다. 현재 네이버 사내병원을 이용하는 사원들을 환자로 가정해서 테스트 중"이라며 "이는 아픈 증상을 토대로 진료과 추천부터 시작해서 의사에게 서베이를 바로 전달하고, 시술이나 처방에 따른 약을 리스트해준다. 이후 가정에서 약복용이 이뤄지는지 체크해주며, 검진 역시 환자용 페이션트 써머리를 제공해 한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디지털헬스케어 도입하려는 이유는? 고령화 대응·의료수요 충족·비용 절감
이 같은 디지털헬스케어 도입은 부족한 의료진을 보완하고 급증하는 의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실제 이날 '헬스케어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주제로 발표한 삼정회계법인(KPMG) 박경수 상무이사는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어떤 산업이든 디지털포메이션이 이뤄지지 않으면 퇴출되는 상황이다. 특히 헬스케어 영역은 진료와 운영 효율화를 위해 디지털솔루션 적용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상무이사는 "최근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는데, 전문인력 이탈, 인건비 증가 등이 이어지고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면서 미국 유수의 병원들까지 적자를 내고 있다"면서 "경영악화에 대응하고자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며, 국내 병원들 역시 병상 확장 보다는 디지털솔루션 도입과 인력 감축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화된 헬스케어분야는 디지털과 연계하면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한 영역이다. 정부의 바이오헬스케어 전략 역시 디지털을 통해 완결성 있는 의료를 제공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만큼, 앞으로 헬스케어의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라고 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향성은 ▲데이터 분석 기반의 고객 가치 제공,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고객 경험 혁신 등 환자 편의성을 높이는 분야와 ▲AI+RPA,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등의 운영 효율화, ▲건강검진 서비스 확대, 시니어비즈니스 확장 등 신사업 및 밸류체인 확장과 ▲글로벌 진단플랫폼 강화 등 글로벌 진출 등이 있다고 소개했다.
박 상무는 "다만, 디지털솔루션 도입시 환자의 편의성과 재무적 효과, 임상적 효과 등을 고려해야 하며, 디지털솔루션 도입과 운영에 따르는 비용과 인프라, 조직, 인력 등을 확보 가능한지도 우선 검토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네이버 헬스케어 연구소 차동철 센터장은 지난 23일 메디컬 코리아(Medical Korea) 2023 디지털헬스케어 미래전략 세미나에서 '초거대언어모델 시대에서의 디지털헬스케어'를 주제로 현재 개발 중인 디지털헬스케어 B2B, B2C 모델들을 소개했다.
의사들을 돕는 솔루션을 연구하는 네이버 헬스케어 연구소
차 센터장은 네이버의 디지털헬스케어 파이프라인 소개에 앞서, 2023 주요 키워드는 사용자 특성을 반영한 '퍼스널라이즈드 케어', 접근성을 높이는 '유비쿼터스 케어', 의료진 업무를 절감해주는 '인공지능(AI) 보이스 기술', 효율적 업무 환경을 제공해주는 '헬스케어 워크포스를 위한 AI', 최적화된 개별적 케어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데이터 통합·상호호환' 등이 있다고 밝혔다.
차 센터장은 "이전처럼 동일한 치료방법이 아닌 사용자 특성에 따른 개별 맞춤형 치료를 하고, 원격의료나 가정방문의료 등 환자의 의료접근성을 대폭 낮추고 있다"면서 "언제 어디서나 정신과 진료·상담이 가능한 디지털치료제가 등장했고, AI로 의료진 노동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환경도 구축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의료현장의 디지털화에 따라 지난 2년간 네이버는 디지털헬스케어 파이프라인을 다양하게 구축했고, 현재 사내병원을 통해 테스트를 하고 있는 단계"라며 "메인은 B2B로, 의사업무를 돕는 솔루션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 헬스케어 파이프라인은 B2B의 경우 ▲스마트 서베이 ▲보이스 EMR ▲AI케어콜 ▲환자 써머리,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B2C) 솔루션인 ▲마이헬스 등이 있다.
이중 '스마트서베이'는 환자 병력청취 결과를 EMR에 자동으로 기입해주는 솔루션이다. 이때 환자가 보는 화면에는 알기 쉬운 내용으로 결과가 나오고, EMR에는 의료용어로 변환 후 자동 입력된다.
이를 통해 환자입장에서는 병원 예약부터 방문, 사전문진, 진료, 의무기록관리까지 진료 전반의 과정을 디지털화할 수 있으며, 병원입장에서는 자동으로 환자증상에 대한 EMR 차팅과 상병추천이 이뤄져 원무를 효율화하고 청구 누락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차 센터장은 "이미 네이버 사내병원에서는 해당 솔루션을 통해 진료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환자 대답을 기반으로 추천상병이 나열되면 의사가 컨펌만 하면 되기 때문에 진료시간을 줄이고 의사는 환자진료에만 시간을 활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네이버클로바 노트 기능을 활용해 3000여개의 스크립트를 토대로 순천향대병원과 공동 개발한 '보이스 EMR: 널싱 노트'는 의료용어를 인식하는 보이스 EMR을 통해 음성으로 의무기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SDK를 제공하는 것이다. 95% 정확도로 말하는 내용이 EMR로 들어오기 때문에 챠팅 시간은 물론 인수인계도 바로 이뤄질 수 있어 간호사 격무 해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아가 이를 진료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보완 중이다. 차 센터장은 "궁극적으로는 자동으로 EMR에 진료내용을 축약해 저장하는 형식으로 개발 중"이라며 "이르면 2~3년 안에 해당 솔루션을 통해 의사는 진료실에서 마이크만 켜두고 환자 진료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AI케어콜은 코로나19 대상자 관리업무를 클로바AI가 대체하는 서비스로, 성남시에서의 레퍼런스를 토대로 전국 지자체로 확대 중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질문만 하는 방식이었으나, 현재 대화 기억하기를 적용해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억한 후 이전 답변에 따라 맥락을 이어가는 대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환자(페이션트) 써머리는 환자가 건강검진을 어디에서 받았는지 상관 없이 기존 검진결과를 하나로 요약,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를 한 후 상담하는 의료진이 추적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이는 라지 랭귀지모델 하이퍼클로바를 통해 마련했으며, 코칭 멘트도 제공한다.
차 센터장은 "지금까지 파이프라인은 B2B인데, 마이헬스라는 B2C 솔루션도 준비 중이다. 현재 네이버 사내병원을 이용하는 사원들을 환자로 가정해서 테스트 중"이라며 "이는 아픈 증상을 토대로 진료과 추천부터 시작해서 의사에게 서베이를 바로 전달하고, 시술이나 처방에 따른 약을 리스트해준다. 이후 가정에서 약복용이 이뤄지는지 체크해주며, 검진 역시 환자용 페이션트 써머리를 제공해 한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디지털헬스케어 도입하려는 이유는? 고령화 대응·의료수요 충족·비용 절감
이 같은 디지털헬스케어 도입은 부족한 의료진을 보완하고 급증하는 의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실제 이날 '헬스케어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주제로 발표한 삼정회계법인(KPMG) 박경수 상무이사는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어떤 산업이든 디지털포메이션이 이뤄지지 않으면 퇴출되는 상황이다. 특히 헬스케어 영역은 진료와 운영 효율화를 위해 디지털솔루션 적용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상무이사는 "최근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는데, 전문인력 이탈, 인건비 증가 등이 이어지고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면서 미국 유수의 병원들까지 적자를 내고 있다"면서 "경영악화에 대응하고자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며, 국내 병원들 역시 병상 확장 보다는 디지털솔루션 도입과 인력 감축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화된 헬스케어분야는 디지털과 연계하면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한 영역이다. 정부의 바이오헬스케어 전략 역시 디지털을 통해 완결성 있는 의료를 제공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만큼, 앞으로 헬스케어의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라고 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향성은 ▲데이터 분석 기반의 고객 가치 제공,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고객 경험 혁신 등 환자 편의성을 높이는 분야와 ▲AI+RPA,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등의 운영 효율화, ▲건강검진 서비스 확대, 시니어비즈니스 확장 등 신사업 및 밸류체인 확장과 ▲글로벌 진단플랫폼 강화 등 글로벌 진출 등이 있다고 소개했다.
박 상무는 "다만, 디지털솔루션 도입시 환자의 편의성과 재무적 효과, 임상적 효과 등을 고려해야 하며, 디지털솔루션 도입과 운영에 따르는 비용과 인프라, 조직, 인력 등을 확보 가능한지도 우선 검토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