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선 중환자 병상과 인력이 충분하다고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기에 모두 포화상태다."(대한전공의협의회 박한나 수련이사)
일선 현장에서 코로나19 중환자진료를 보고 있는 전공의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시스템 부재로 인해 가용 병상 운용과 인력, 중환자 이송 등 분야에서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9일 오후 3시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현장의 어려움을 전했다.
현장 전공의들이 보는 코로나19 중환자 진료의 가장 큰 문제는 전체적인 틀을 아우를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다. 자가격리나 재택치료 등 경증환자가 중증으로 악화될 때 해당 환자를 적절하게 이송하거나 남은 병상으로 병원간 전원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실제 병원에서 3일간 전원을 위해 대기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협 여한솔 회장은 "치료할 수 없어 하루에도 십수 명씩 코로나 감염으로 인해 병원에서 제때 치료조차 받지 못한 채 집에서 사망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서울 경기권에는 중증환자를 받을 수 있는 병상은 이미 한 자리도 남아있지 않음에도, 보건 당국은 병상이 아직도 여유가 있다고 호도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코로나 감염 환자가 폭증해 확진환자의 응급실 내 체류시간이 100시간이 넘는 것은 기본, 300시간이 넘어 응급실에서 격리해제 하고 퇴원시킨 환자도 있었다"며 "음압 시설을 유지해야 하는 격리구역에선 코로나 감염 진단을 받았음에도, 전담병원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새로 들어오는 중환자는 수용하지 못해 몇 안되는 격리실이 있는 다른 병원으로 이송해달라고 말하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서연주 수련이사는 "현장 시스템을 관할하는 중앙부처와 현장의 괴리가 심하다. 이 때문에 중환자 병상 수치가 틀리는 경우도 있다. 현장 실무자들과 소방청, 정부 등 단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잔여 병상 안내나 인력 문제 등을 유기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현재는 이런 시스템이 부재해 개별 보건소나 공보의가 카톡으로 대체하고 있다는 애기도 나온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정부 차원의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보니 병원마다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다. 현재 민간병원들은 기존에 환자 입원 절차에 있어 모든 환자에게 음성확인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응급실과 중환자실 수용 능력이 한계치에 달하다 보니 일부 환자들이 코로나 검사 전 일반 환자들과 섞이는 등 사례도 있다. 확실한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지나친 병상 확보 행정명령으로 인한 비코로나 환자 진료 공백 문제도 지적됐다.
박한나 수련이사는 "행정명령으로 인해 중환자실 축소돼 있는 상태로 코로나 환자로 인해 중환자실이 없으면 2차병원이라도 전원을 가야하는데 현재는 일반 중환자들이 갈 곳이 사라진 상태"라며 "현재 응급실은 생지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에 중환자 병상 입원 시 이 환자가 중환자 진료가 꼭 필요한 상황인지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오게 됐다"고 말했다.
서 수련이사도 "현재 밀려드는 코로나 중환자들로 인해 의료장비 부족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며 "60대 이상 환자에게선 에크모(ECMO) 금지령까지 나오는 병원도 있다. 의료인력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의료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코로나와 비코로나 환자 모두 돌볼 수 없는 지경에 됐다"고 전했다.
이들은 경증에서 중증으로 악화되는 환자에 있어 빠른 분류를 통해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 확보가 시급한 급선무라고 봤다. 또한 현장 의료 인력들의 과중한 업무로딩과 신규 인력 확보도 큰 과제 중 하나다.
여한솔 회장은 "현재는 중증으로 악화되는 모든 환자들이 대학병원 응급실로 밀려오면서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해당 환자들을 빠르게 전담병원 등으로 이송하거나 남은 병상으로 빠르게 전원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서연주 이사는 "상황이 점차 안 좋아지면서 현장 의료진의 피로도도 누적되고 과중한 업무로 사직을 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며 "과를 가리지 않고 교수, 전임의, 전공의 등 모두가 휴가도 가지 못하고 24시간 콜을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