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임익강 보험이사는 4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에서 의료계 신년교례회 시작 직전에 기자간담회를 열고 권고문과 관련한 논란 해명에 나섰다. 의료전달체계 개선 협의체 권고문(원문보기)은 의료기관 종별 구분을 기능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임 이사는 “지난 2년동안 우여곡절 끝에 협의체를 끌고왔지만 의협이 비공개 회의를 했던 것은 사실이다”라며 “하지만 지난해 11월 17일 권고문을 처음으로 공개한 이후 투명한 회원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수정을 거듭했다”고 말했다.
임 이사는 의원급 의료기관은 4가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고 했다. 첫째는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의원으로 만성질환 수가를 받는다. 둘째는 입원실이 없지만 간단한 수술이 가능한 의원이다. 백내장 수술 등 낮병동을 운영할 수 있다. 셋째는 경증 환자에 대한 입원실과 수술실을 두는 의원이다. 이때 이차의료기관으로 분류되고 병원종별 가산을 받는다. 넷째는 아예 의료전달체계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임 이사는 “만약 의료전달체계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체계로 그대로 진료하는 것이다”라며 “지금처럼 간다고 하더라도 매년 수가인상분이 반영되고 3차 상대가치점수도 반영된다”고 말했다.
임 이사는 “권고문은 어디까지나 권고문이기 때문에 정책은 아니다”라며 “삼차 의료기관의 경증 환자를 일차의료기관으로 보내는 것은 본인부담금 가산이나 총 진료비의 감산과 가산을 통해 이뤄진다”고 말했다. 임 이사는 “구체적인 정책은 권고문을 완성한 이후에 공급자와 보험자간의 논의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임 이사는 “협의체는 권고문을 보건복지부에 전달하는 것으로 임기가 끝난다”라며 “의협은 권고문이 잘 정착되고 시행될 수 있도록 감시하며, 정책 실행을 위한 또 다른 협의체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료전달체계 개선은 지불제도 개편과는 관련이 없다고 분명히 했다. 임 이사는 “예전에 의료전달체계 개선을 논의할 때는 (건강보험 재정의) 총액 개념을 도입하려고 했지만 이번에는 다르다”라며 “협의체 의견을 70~80% 담아 일차의료를 강화하고 대한병원협회와 환자단체, 보험자 등의 안을 반영해서 골격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임 이사는 “권고문은 회원 의견 수렴을 토대로 업그레이드를 해왔다. 예전의 논의와는 근본이 다르다”라며 “6일에 회원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하는 것까지 (협의체 소위원회에)양해를 구해놨다”고 했다. 임 이사는 “6일에 새로운 회원들의 의견이 올라오면 이것까지 전달해서 권고문을 업그레이드를 시키겠다”고 했다.
그는 의료전달체계 개선 협의체의 최종 책임은 복지부에 있다고 했다. 임 이사는 “복지부가 의료전달체계 개선을 목적으로 협의체에 연구용역을 준 셈”이라며 “협의체에서는 임무를 수행해서 아웃컴(결과)을 복지부에 돌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임 이사는 “복지부가 권고문을 그대로 받아들일지, 권고문을 수정을 할지 모르겠다”라며 “권고문을 전제로 복지부가 새로운 정책을 입안해서 정책에 따른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지 등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고 했다.
임 이사는 “의협은 늦게나마 권고문에 대한 충분한 의견 수렴을 하고 회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라며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가입자와 공급자 사이, 의원과 병원의 중간 역할을 하면서 두 곳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기존의 안을 수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