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전공의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박지현 부회장은 29일 대전협 페이스북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들께’라는 게시글을 통해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권역외상센터 전공의 파견 시범사업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박 부회장은 “정부 대책은 외상센터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외과 전공의를 외상센터에서 경험하도록 하고, 수개월씩 필수적으로 파견을 돌게 하는 데 있다”라며 “하지만 전문의가 할 일을 외과 전공의가 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박 부회장은 “전공의 연차별로 역할이 있고 자신있게 할 수 있는 수술이 있다”라며 "수련 과정을 거쳐 전문의가 되고 통합적으로 환자를 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전문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중증외상센터에서는 중증외상환자가 왔을 때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외상을 전공한 세부전문의가 있어야 한다”라며 “현재 외상센터의 열악한 환경을 알고도 지원할 전문의는 많지 않으며, 그들에게 선택을 강요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외상센터에 전공의 파견 의무화는 힘 없는 전공의들을 강제로 구겨넣는 것에 불과하다고 했다. 박 부회장은 “전공의 파견 대책은 외과 전공의를 실력있는 외과 전문의로 양성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당장 병원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값싼 노동력으로 쓰겠다는 의미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외과는 인턴 수련 과정 중에서 필수 진료과”라며 “인턴들이 이미 외과를 충분히 접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과 지원이 미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재미있고 흥미로운 학문이라도 외과 전공의의 삶과 미래를 생각하면 쉽게 지원할 수 없다”고 했다.
박 부회장은 “중증외상센터의 근무환경과 처우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누군가를 강제로 일하게 만들 수는 없다”라며 “전공의를 강제로 외상센터에서 일하게 만든다고 해서 외상센터 지원률이 늘어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복지부가 미래의 외상 전문의를 만들고 싶다면 권역외상센터를 외과 의사의 좋은 선택지로 만들어야 한다”라며 ”현실적인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제3의 이국종 교수를 만들겠다는 욕심은 소용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도 잠 못자면서 1인당 200명이 넘는 환자를 보는 외과 전공의들은 탁상공론에 힘이 빠진다“이라며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보여주기식의 정책으로는 무너져가는 의료계를 바꿀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