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디지털 헬스케어가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여겨지며 다양한 건강관리 및 질병 치료 등에 활용되고 있지만,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에 대한 교육 없인 '그림의 떡'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코로나19와 함께 정부는 물론 전 산업에서 비대면(untact) 바람이 불면서 보건의료산업에도 디지털 헬스케어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지자체에서도 보건소 단위로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각종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의료 취약계층은 기존의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문제에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Digital Health Literacy)'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서울시 대사증후군관리사업지원단이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대사증후군관리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주제로 한 워크숍에서 성균관대 임상연구 설계평가학과 윤정희 교수는 국내에도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 거버넌스를 통해 건강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질병관리청 및 서울시에서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가 건강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는 윤정희 교수는 "헬스 리터러시가 고려되지 않을 경우 취약계층은 더욱 소외될 수밖에 없다. 국민 전체의 건강 형평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헬스 리터러시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디지털 헬스케어는 쉽고 빠르게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헬스 리터러시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건강 디지털 헬스케어가 새로운 건강 불평등과 격차 요인을 대두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초기 대다수 건강정보가 디지털 디바이스와 SNS를 통해 유통되고, 비대면 건강정보 활용 비중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앱과 QR코드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들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코로나19 정보에 접근하지 못해 불편을 겪어야 했다.
윤 교수는 "코로나19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건강 결정 요인인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인식이 넓혀지고 있다. 하지만 명확한 정의는 되지 않고 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헬스 리터러시를 '건강정보이해능력'으로 보고 있다. 즉 개인이 건강관련 의사결정 및 건강행동을 할 때 건강정보 및 건강 서비스를 찾고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본래 헬스 리터러시는 건강 및 치료 정보를 제공받았을 때 치료 용어 및 약물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디지털 헬스케어가 등장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사용하지 못해 건강 정보를 접근하지 못하는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윤정희 교수는 "미국 보건복지부는 2010년부터 법적으로 헬스 리터러시 정책을 하고 있었는데, 코로나를 겪으면서 헬스 리터러시를 의무 교육처럼 생애 주기별로 사람들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해외 선진국들은 이미 헬스리터러시 거버넌스를 통해 헬스리터러시 영역을 제시하고, 목표를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을 국가적 책임으로 명시하고 있다. 미국 CDC는 'Health literacy'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영국도 NHS 차원에서 'Digital Service manual'을 만들어 디지털화된 건강정보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었다.
윤 교수는 "왜 헬스 리터러시를 고려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결국 취약계층을 위해서다. 일반 국민들은 디지털 헬스케어를 잘 활용해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취약계층은 그렇지 않다. 헬스 리터러시가 기반되지 않으면 디지털 헬스케어가 제공돼도 취약계층은 이를 건강에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전체 인구 중 디지털 헬스 정보에 어려움이 있는 인구는 연구에 따라 22~58%로 추정된다.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이 낮을수록 ▲경제 형편이 낮을수록 ▲직업이 없는 경우 ▲도시에서 먼 경우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 ▲관련 훈련이나 경험이 적은 경우 ▲자기 효능감이 낮을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윤 교수는 건강관련 전문가들부터 건강정보를 만들 때 '헬스 리터러시'를 고려하도록 인식을 개선하고, 그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그는 "대상자 맞춤 교육 콘텐츠 제작, 디지털화된 건강정보 개발 및 제공 경험에 대한 사례 공유 등이 필요하다. 나아가 헬스리터러시 제고를 위한 전문 부서 및 조직이 전문인력을 양성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교육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정희 교수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만병 통치약이 아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이 아니라 결국 저희가 건강으로 가는 길의 조력자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잘 활용해서 본인들이 있는 자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독려해 주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며 디지털 헬스케어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제고가 필수적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