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미래 의사는 사회적 책무를 가진 건강 책임자여야

    서울의대 의학교육실 20주년서 미래 의학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기사입력시간 2018-11-02 05:56
    최종업데이트 2018-11-02 08:22

    사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실 창립 20주년 심포지엄. 세브란스병원 의학교육학과 전우택 교수.

    [메디게이트뉴스 정다연 기자] 의대에서 바라보는 미래 의사 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실은 1일 창립 20주년을 맞아 "새로운 시대, 새로운 의학교육"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의사의 사회적 책무를 기르는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의사를 인류의 건강 책임자로 육성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의학교육에 사회적 책무성 기르는 방안 포함해야 

    세브란스병원 의학교육학과 전우택 교수는 최근 논란이 된 공공의대 설립과 관련해 의사의 사회적 책무를 의학교육 안에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교수는 "한국에서 의대 학생들은 최고의 성적을 가지고 대학에 입학한다. 누군가는 이런 점 때문에 의대 교수들을 부러워 한다. 하지만 의학교육을 하는 교수들은 고민이 많다"며 "의대 학생들은 스스로 잘 하는 것이 있고 꼭 도와주어야만 비로소 잘하는 것이 있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의과대 학생들이 스스로 잘하는 것이 있다"며 "의사 국가시험(KMA) 시험 준비다. 좋은 책과 문제집만 있으면 합격하는 데 큰 지장이 없다. 학생들이 공부하고 시험을 잘 치르는 방향으로 탁월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학교와 교수가 도와줘야 의대 학생들이 비로소 잘 하는 것이 있다. 의사로서 사회적 책무감 가지는 일이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이는 체계적인 교육과 교수가 의대 학생들이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동안에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만 학교를 졸업하고나서 현실과 맞닥뜨렸을 때 잘 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논의된 국립공공의료대학원은 의사로서 사회적 책무를 특정한 의과대 나온 사람들에게 몰아서 처리하게 하자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며 "의사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사회적 책무감 가지는 일은 KMA 시험을 잘 치르는 것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그렇다면 나머지 의사들은 공공의료의 책임에서 벗어나도 되는 것인가"라고 물으며 "의학교육은 지역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에 대한 사회적 책무 가지도록 해야한다. 그게 의과대학의 본질이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외국에서는 의과대학에서 의사로서 사회적 책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한다. 유럽의학교육학회는 의학대학의 사회적 책무 교육을 기준으로 정해 의대학이 이를 잘 수행하면 상을 준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서던 일리노이 의대는 공부 잘하는 순서대로 의대학생을 선발하지 않는다. 봉사경험과 대표성이 불충분한 인구집단 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입학정책을 취하고 있다"며 "그 결과 의대 졸업생들은 45%가 일차의료 영역에서 근무하고, 46.5%가 보건인력 부족 지역에서 근무하며 50% 이상은 수련 후 일리노이 주에 머물며 근무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뉴멕시코주 의대는 시골, 소수인종, 저소득층 출신 등을 고루 입학생으로 받는다. 이들은 임상실습을 도시와 3차 의료기관, 인디언 보호구역, 시골 농업 및 목장 지역 등에서 균형적으로 거친다"며 "그 결과 졸업생 30.2%가 가정의학 레지던트에 지원했다. 이 수치는 미국 의대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이다. 어떤 교육과정을 경험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각 의과대학은 의대가 있는 지역에서 인구집단 문제, 기초의학, 임상의학을 연구하는 것을 먼저 고민해야한다. 그런 것이 세계적인 것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의대 교수의 머릿속에 있는 의료와 현장의 의료는 굉장히 갭이 크다. 교수들은 최첨단 기술, 최초의 수술을 학생들에게 보여주면 나중에 더 잘 되겠지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일을 할 학생들은 소수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현장에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특정한 대학에 사회적 책무를 몰아줄 문제가 아니다. 한국사회 전체를 이끌어갈 아이디어와 책임 인력을 의과대학이 공급해야한다"며 "학교 내에서 사소한 경험이 무슨 소용일까 싶지만 졸업 후 의대 학생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전 교수는 "인구집단 변화, 사회적 요구에 발맞춰 의학교육은 의대가 발디디는 지역사회 안에서 새로운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 전남대학교 박상철 석좌교수.

    의학교육의 범위 확대해 인류 건강 책임자로서 의사 육성 

    전남대 박상철 석좌교수는 의학교육이 범위를 넓혀 인류의 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를 육성하는 방향으로 개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Life 1.0 시대는 육체와 사고는 모두 인간의 진화에 의해 결정됐다고 믿었던 시대를 뜻한다. Life 2.0 시대는 육체는 진화를 통해 결정됐지만 사고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바꿀 수 있다고 믿는 시대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제 Life 3.0 시대로 향하고 있다. 인류는 유전자 기술 등 의료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육체를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됐고 사고 또한 훈련을 통해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이 것이 Life 3.0 시대"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의료계가 질환 자체에 집중하다 보니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며 "현재 의학교육은 시대 변화에 부응하고 있는가 생각해야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의학은 인류를 대상으로 한다. 최근 인류가 과거와 다르게 변하고 있다"며 "인류의 수명은 늘고 있다. 일본에선 100세 인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과학계에서는 인류가 150세까지 살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이들 인류는 나이가 많으면서도 건강하게 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의학교육은 이런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며 "질환 자체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시대 변화에 부응해 의학교육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최근 일본의 아베 총리는 테크놀로지로 초고령사회를 준비하겠다고 발표했다. 복지정책만으로 초고령사회를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이다"며 "그런데 아베 총리가 발표한 연설문의 초안을 오사카 의과대학 인류학 교수가 썼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미래 의학교육의 역할은 여기에 있다. 의학교육의 영역은 확대되어야 한다. 일본의 의대가 인류학을 가르치는 것처럼 의학교육에서 인류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를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앞으로 의사는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키고 인류를 보존하는 역할도 해야한다"며 "미래 의학교육은 의대 학생을 치료자가 아니라 건강 책임자로 길러야 한다. 이에 따라 시대에 걸맞는 의학교육을 준비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