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까지 치료제가 없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치료를 위해 국내에서도 회복기환자의 혈장을 이용할 전망이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31일 코로나19 관련 현안브리핑을 통해 혈장이용 연구 시행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앞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먼저 발생한 중국 등에서는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혈장요법연구를 시행해왔으며, 최근 국제학술지인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치료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게재한 바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체 내에서 이에 대항하기 위해 항체를 형성하고 이후 서서히 회복되는데, 혈장요법은 이미 항체가 포함된 타인의 혈장을 중증 환자에 수혈해 회복기간 단축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추진된 혈장요법 연구 결과, 5명의 환자 중 4명이 혈장요법 이후 3일만에 정상체온으로 돌아왔으며, 폐의 산소화 능력과 장기부전 평가 점수 등이 모두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이번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리나라에서도 혈장요법을 연구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권 보건연구원장은 "현재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효과가 입증된 코로나19 치료방법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완치자의 회복기 혈장을 중증 코로나 환자의 치료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회복한 환자의 혈액 속에는 코로나19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항체들이 형성돼 있을 것으로 판단이 되기 때문"이라며 "마치 수혈을 하듯이 치료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고 부연했다.
실제 앞서 지난 2015년에도 중증 메르스 환자 치료를 위해서 약 9건 정도 회복기 환자의 혈장을 사용해 치료를 시도한 바 있으며, 최근 중국 연구에서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 완치자 혈장을 투여해서 치료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온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권 원장은 "이를 감안해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지침에는 혈장요법 시행 전 시행하는 검사와 구체적인 사용량과 치료주기 등의 표준적 절차가 담기게 된다"며 "일단 지침을 만들어서 혈액관리위원회 산하에 전문분과위원회 검토를 거친 후 이후 해당 요법 활용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