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정부가 글로벌 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의결하고, 글로벌 신약후보 물질 100개 발굴과 바이오 기술기반 신규 일자리 12만 명 창출 등 향후 10년간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큰 틀에서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현재 1.7%(생산기준 27조 원) 수준에서 2025년 5%(생산기준 152조 원)까지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먼저 정부는 신약 개발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후보물질에서 전임상, 임상, 판매·마케팅으로 이어지는 신약개발 전주기를 지원할 계획이다.
산‧학‧연‧병 오픈 이노베이션 R&D에 10년간 5000억 원을 투자하는 '국가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확보 사업'을 현재 예비타당성 심사 진행 중이고,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 사이의 공백 구간인 전임상 전후단계에는 창업 및 기술이전과 연계한 R&D 비용을 지원한다.
또 글로벌 임상과 해외 판매·마케팅까지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금융기관, 해외 투자를 포함한 1조원 이상 규모의 신약 메가펀드를 조성한다.
그 결과 글로벌 신약후보 물질을 신규로 100개, 1조 원 이상 매출을 내는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을 5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규 일자리 12만 건은 바이오기업 창업과 클러스터 육성에 따른 창출과 바이오산업 규모 성장에 따라 창출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부 계산에 따르면 2025년까지 신규 벤처 1250개와 기술특례상장기업 30개를 육성하면 일자리 4만 명이 창출되고, 글로벌 기업 4개 및 글로벌 클러스터를 2개 구축하면 일자리 8만 명이 만들어져 총 12만 명이 된다.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전국에 산재한 클러스터를 지역별 강점 분야를 고려해 특화·연계시켜 육성하고, 병원이 바이오산업의 혁신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예를들면 대전과 홍릉은 R&D와 창업, 판교·오송·대구는 보육 및 성장, 송도는 생산과 글로벌 진출로 특화하는 것이다.
정부는 최종 수요처인 병원에서 R&D와 개방형 혁신이 촉진될 수 있도록 병원 중심으로 R&D와 사업화를 일원화 지원하고, 사업화 촉진조직 설립 등 혁신을 지원하는 제도적 개선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규제개선 맵과 인력-일자리 연계맵 등 바이오산업 전체를 포괄하는 바이오 표준 통계를 관계 부처 및 기관이 함께 구축해 이르면 2019년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