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국립대병원의 진료보조인력(PA)이 지난 2년동안 300명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정경희 의원(국민의힘)은 분원을 포함한 국립대병원 14곳을 대상으로 PA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2019년 797명이던 PA가 올해 1091명으로 294명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PA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병원이었다. 서울대병원의 PA 숫자는 2019년 56명에서 2021년 162명으로 3배가량 뛰었다. 분당서울대병원도 올해 기준 121명의 PA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년 전에 비해 10명이 증가한 수치다.
양산부산대병원이 86명, 충북대병원, 전남대병원이 84명, 부산대병원이 83명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 2년 사이 PA 수가 줄거나 그대로인 곳은 세종충남대병원과 강원대병원 뿐이었다.
정 의원실이 국립대병원들의 의견을 확인한 결과, 모든 국립대병원이 PA의 공식화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서울대병원의 경우 지난 7월 PA의 명칭을 임상전담간호사(CPN)로 변경하고 공식화했으며, CPN 운영지침을 만들고 업무범위를 의사 감독하에 의사의 진료를 보조하는 업무, 간호사 면허와 자격에 따라 수행 가능한 진료보조 업무로 규정했다.
서울대병원은 의료법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PA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제도를 도입했다는 입장이지만 의료계의 반발이 심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PA를 의료법 내 CPN으로 규정하고 운영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진료를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서울대병원은 의료법 테두리내에서 할 수 있는 진료지원 행위만 한다고 하지만 실제 그렇게만 운영되지 않고 있다. 체계적 의사 교육과정을 거치지 못한 PA가 의료행위를 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PA의 공식화는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만큼 인력부족 해결을 위해 병원이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추진할 문제가 아니다. 의료계 전체가 함께 고민해 해결해야 될 문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