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디지털치료제 상용화를 위해 적정한 수가 보상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이와 관련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디지털치료제가 개발되더라도 실제 의료현장에서 쓰일 수 없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올라운드닥터스 곽성동 대표(소화기내과 전문의)는 최근 온라인으로진행된 2022년 여름방학 메디게이트뉴스 의대생 아카데미에서 이같이 밝혔다.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소프트웨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웹 서비스나 게임, 가상·증강 현실(VR·AR)기기,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메타버스 플랫폼 등 효능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분야다. 곽 대표도 '환자 자가보고(ePRO, Electronic Patient Reported Outcomes)' 기반의 디지털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디지털치료제는 2018년 글로벌 기준 북미와 유럽 등을 중심으로 21억2000만달러 규모로 시장이 성장한 상태다. 2025년까진 추가로 26.7%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서비스 분야는 환자의 일상생활에서 활동을 보조하는 행동교정이 31%로 가장 많고 처방준수 분야가 30%로 그 뒤를 잇는다. 이외 만성질환 관리, 데이터 수집·관리에 따른 모니터링 등 효과도 보인다.
디지털치료제는 이미 치료의 90% 이상을 인공지능(AI)이 담당하고 있다.
일례로 혈당 관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모델인 눔(noom)은 자동화된 코치의 활동 가이드(넛지), 세계 최고 수준의 음식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영양 피드백 제공 등 93%의 역할을 AI가 담당하고 있다.
반면 의사는 공감과 격려, 신뢰, 목표 설정, 인공지능 엔진의 강화학습 등 7% 정도의 역할만 한다.
디지털치료제는 이처럼 산업 자체가 매우 빨리 발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의료 현장에 적용되기까진 장애물이 많다. 우선 수가 체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 개발 업체들 입장에서 가장 큰 난관이다.
곽 대표는 "임상시험 통과까지는 보통 3~4년 정도가 소요되고 5년을 넘지 않는 것이 보통"이라며 "그러나 문제는 임상시험을 마쳐도 의료수가가 어떻게 책정되느냐다. 수가에 따라 힘들게 디지털치료제가 개발되도 현장에서 전혀 상용화되지 않을 가능성도 많다"고 말했다.
불면증 관련 디지털치료제를 개발하더라도 대표적인 불면증 치료제인 졸피드 한알 가격인 130원 보다 수가가 낮다면 굳이 의사 입장에서 디지털치료제를 처방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곽 대표는 "디지털치료제가 경제성평가 측면에서 어떤 가치를 부여 받게 될 것인지가 관건이다. 기존 케미칼치료제와 비교해 더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지를 비교했을 때 실제 뛰어난 가치를 부여받기 힘들어 현장에서 외면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디지털치료제 경제성평가를 기존 약제 수가와 동일하게 적용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며 "또한 하드웨어 의료기기를 토대로 적용할 것인지 등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도 제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곽 대표는 디지털치료제 외에도 비대면진료 플랫폼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미국 비대면진료는 규정 자체가 매우 복잡하다. 이 때문에 데이터 보호나 사용 툴 자체가 처음부터 규격에 맞게 이뤄지고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이런 원칙 자체가 전혀 없는 상태다. 차후 정식으로 의료법상 비대면진료가 허용되면 진료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보관 원칙, 보안 등 프로그램을 다시 개발해야 하는 처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