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대 100주년, 새로운 100년을 위해
2023년은 경북의대 전신인 대구의학강습소로부터 개교 100주년이 되는 해다. 경북의대는 한 세기 동안 훌륭한 의료인과 의학자를 배출한 한국의 대표적인 명문 의학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지금까지 배출된 9000여명의 졸업 동문은 환자 진료 및 의학 연구에 매진해 국내외 의료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의대는 2023년 8월 27일부터 9월 3일까지 100주년 기념주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메디게이트뉴스는 경북의대 10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와 함께 지나온 100년을 기념하고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릴레이 칼럼을 게재한다.
①권태환 경북의대 학장·경북의대 100주년 공동준비위원장
②박재율 경북대 의과대학 동창회장·중앙이비인후과 원장
③이재태 경북의대 100주년 자문위원단장·경북의대 핵의학교실 교수
④김성중 경북의대 31대 동창회 수석부회장·대구 W병원 원장
⑤김용진 경북의대 100년사 간행위원장·경북의대 병리학교실 교수
⑥이원주 경북의대 부학장·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 주임교수
⑦정한나 경북의대 흉부외과학교실 교수
⑧김성중 경북의대 31대 동창회 수석부회장·대구 W병원 원장
⑨최병호 경북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
⑩권정윤 경북의대 안과학교실 명예교수·뉴경대요양병원 원장
⑪김정용 대구 동구보건소장·전 개성공단 협력병원장
⑫이승재 경북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
⑬채성철 경북의대 명예교수(순환기내과)
⑭정진향 경북의대 외과학교실 주임교수
⑮안동빈 경북의대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임교수
⑯박순우 대구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학장
⑰이원순 대구광역시의사회 명예회장
⑱박성민 대한의사협회 의장
⑲채종민 경북의대 법의학교실 명예교수
⑳류형우 10대 대구예총 회장
㉑손원수 경북의대 신경외과학교실 교수
2023년은 경북의대 전신인 대구의학강습소로부터 개교 100주년이 되는 해다. 경북의대는 한 세기 동안 훌륭한 의료인과 의학자를 배출한 한국의 대표적인 명문 의학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지금까지 배출된 9000여명의 졸업 동문은 환자 진료 및 의학 연구에 매진해 국내외 의료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의대는 2023년 8월 27일부터 9월 3일까지 100주년 기념주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메디게이트뉴스는 경북의대 10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와 함께 지나온 100년을 기념하고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릴레이 칼럼을 게재한다.
①권태환 경북의대 학장·경북의대 100주년 공동준비위원장
②박재율 경북대 의과대학 동창회장·중앙이비인후과 원장
③이재태 경북의대 100주년 자문위원단장·경북의대 핵의학교실 교수
④김성중 경북의대 31대 동창회 수석부회장·대구 W병원 원장
⑤김용진 경북의대 100년사 간행위원장·경북의대 병리학교실 교수
⑥이원주 경북의대 부학장·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 주임교수
⑦정한나 경북의대 흉부외과학교실 교수
⑧김성중 경북의대 31대 동창회 수석부회장·대구 W병원 원장
⑨최병호 경북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
⑩권정윤 경북의대 안과학교실 명예교수·뉴경대요양병원 원장
⑪김정용 대구 동구보건소장·전 개성공단 협력병원장
⑫이승재 경북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
⑬채성철 경북의대 명예교수(순환기내과)
⑭정진향 경북의대 외과학교실 주임교수
⑮안동빈 경북의대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임교수
⑯박순우 대구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학장
⑰이원순 대구광역시의사회 명예회장
⑱박성민 대한의사협회 의장
⑲채종민 경북의대 법의학교실 명예교수
⑳류형우 10대 대구예총 회장
㉑손원수 경북의대 신경외과학교실 교수
신경외과의 본격적인 독립과 발전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시작됐다. 전쟁 중 급격히 증가하는 신경계 손상 환자의 치료에 외국 신경외과 의사들의 도움을 받았고, 그들로부터 교육받은 군의관들이 학회를 설립하고 이끌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됐다. 경북의대 신경외과학 교실은 이주걸 교수가 신경외과 전문의로서 의대 학장으로 부임한 후 이철우 교수가 외과학교실에서 신경외과학 교실을 분리, 독립시킴으로써 1960년 8월 출발했다.
초기에는 일반외과 내에서 분리 진료가 이뤄지다가 1964년 3월에 흉부, 정형외과와 함께 분리 독립돼 진료, 교육,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이철우 초대 주임교수는 적극적인 신경계 질환의 수술과 연구활동으로 교실 발전의 튼튼한 토대를 마련하고 1968년 3월 퇴임했는데, 당시 교실에서는 중추신경계 외상, 추체외로계 및 뇌간에 관한 연구논문이 발표돼 본 교실의 활발했던 초창기 연구활동과 명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1968년 5월 취임한 허 억 교수가 1968년에서 1970년까지, 정상섭 교수가 1970년에서 1971년까지 뒤이어 주임교수로 부임해 교실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했다.
1971년 3월부터 외래강사로 신경외과학 교실에 근무 중이던 김승래 교수가 1972년 1월 25일 주임교수로 취임했다. 김승래 교수는 1995년까지 20여 년의 재임기간 동안 교실 발전을 위해 헌신함으로써 교실의 현대화 및 도약의 계기를 만들었다. 1981년 3월 미국 과 일본의 뇌혈관학계를 시찰하고 귀국했고, 뇌졸중 특히 뇌동맥류 질환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수술과 연구활동으로 본 교실의 발전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특히, 수술 현미경 및 미세수술기구의 도입으로 뇌혈관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진료와 활발한 연구가 가능하게 됐으며, 1974년에는 ‘내경동맥 해면정맥동류에 대한 직달법’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당시 본 교실은 대구경북의 유일한 종합병원 신경외과학교실로서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날로 증가하는 신경계 외상 및 뇌졸중 환자에 대한 진료와 함께 전공의와 학생 교육 및 연구 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교실의 초창기 전공의는 연차 당 1명으로 손 건, 남위현, 김인홍, 김상철, 이정길, 송풍호, 조수호, 홍원배 선생 등이었으며, 1974년 10월 송풍호 전임강사가 부임해 척추수술을 시작, 교수가 2명으로 증원됐으며, 1977년 9월 조수호 선생이 전임강사로 부임했고, 1978년 12월 미국 뉴욕 마운트사이나이(Mount Sinai)병원에서 1년간 신경방사선학과 미세신경외과수술에 대해 연수했다.
1981년 6월, 안동성소병원, 포항선린병원에서 과장을 역임한 박연묵 선생이 조교수에 임용됐으며, 1983년 2월에는 조수호 교수가 사직하고 영남대병원 신경외과교실 초대 주임교수로 취임했다. 1984년 3월에는 함인석 선생이, 1986년 3월에는 황성규 선생이 전임강사로 부임해 교실은 교수진 4명과 전공의 8명으로 명실공히 국립 의과대학 신경외과 교실다운 진용을 갖추게 됐으며 나날이 발전하는 신경외과학의 최신 지견을 습득하고자 항상 노력을 기울여왔다.
1985년 2월 김승래 교수는 스위스 바젤에서 개최된 학회에 참석해 유럽 신경외과 학계를 둘러본 후 비엔나대학교 신경외과학 교실과 교류를 약속하고 귀국했다. 1986년 4월 박연묵 교수는 미국 뉴욕 마운트사이나이병원에서 미세신경외과 수술을 연수해 교실의 미세현미경수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고, 함인석 교수는 1987년 일본 동경대에서 타카쿠라(Takakura) 교수 지도하에 뇌혈관 외과학을, 1990년에는 1년간 미국 피츠버그 대학에서 자네타(Jannetta) 교수의 미세감압수술을 연수해 교실의 뇌혈관수술의 발전에 공헌했다. 황성규 교수는 1989년 미국 뉴욕대학에서 소아신경외과학을 연수해 본 교실의 소아신경외과학 분야를 새로이 개척했고, 1994년 3월에는 성주경 교수가 조교수가 부임해 척추 질환에 대한 진료와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1995년 2월 김승래 교수에 이어 박연묵 교수가 제5대 주임교수로 취임했으며, 1997년 김대현 전임의를 시작으로 교실의 전임의 수련이 시작됐다. 1998년 5월에는 황정현 전임의가 새로이 교수진에 보강된 이후 뇌종양을 세부 전공으로 진료와 연구에 매진하게 됐다. 같은 해에 황성규 교수는 미국 뉴욕대학에서 소아신경외과학을 연수하고 귀국해 교실 소아신경외과학의 기틀을 마련했다. 1999년 2월 함인석 교수가 제6대 주임교수로 2003년 3월 박재찬 선생이 미국 웨인주립대 딜로이트 메디컬센터(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edical Center)에서 전임의를 마치고 조교수로 부임해 뇌혈관수술의 진료, 연구에 기여하게 됐다.
2004년 2월 본 교실에 1972년 부임한 이래 32년간 교실의 발전을 위해 열과 성을 다해 헌신한 김승래 교수가 정년 퇴임했고, 9월에는 함인석 교수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26대 학장으로 피선됨으로써 교실을 넘어 경북 의대의 발전에 기여했다.
2004년에 황성규 교수가 제7대 주임교수로 취임했다. 황성규 교수는 1990년대 후반, 국내 소아신경외과학의 초기 태동기에 대한소아신경외과학회의 창립멤버로 참여해 교실에 소아신경외과 분야를 개척하고 발전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 2004년 3월에 박성현 전임의가 보강돼 정위기능신경외과를 세부전공으로 진료와 연구를 시작했다.
2005년 3월 신경외과적 질환의 치료에 있어 획기적인 장비로 평가받고 있는 뇌정위 방사선 치료 기구인 ‘감마나이프’가 대구경북 최초로 도입돼 감마나이프 센터를 개소했고 2006년 신경항법장치를 수술에 도입했다. 황정현 부교수는 2년간 캐나다 토론토대학(University of Toronto) 뇌종양연구소에서 뇌종양의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마치고 2007년 8월 귀국해 현재까지 뇌종양 수술 및 신경종양학의 진료를 담당하고 있으며, 2009년 2월 감마나이프센터는 감마나이프 시술 500례를 달성했다.
2009년 3월 황성규 교수에 이어 성주경 교수가 교실의 제8대 주임교수로 취임해 교실의 더욱 큰 도약을 위해 헌신했다. 성주경 교수는 경북대 척추신경외과 수술의 수준을 대폭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대한 척추신경외과학회 대구·경북지회 및 대한 척추 신경외과학회 산하 대한척추골다공증연구회를 창설해 학문적 성취에도 이바지했다.
2010년은 신경외과학 교실 창립 50주년이 되는 해로써, 국내외 유수의 연자들을 초청해 기념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같은 해에 조대철 교수가 척추세부전공으로 부임했다. 또한 9월에 함인석 교수가 제 17대 경북대 총장에 취임해 교실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게 됐다. 2011년 8월에 교실 발전에 크게 공헌한 박연묵 교수가 정년퇴임했다. 2012년에는 김경태 교수가 척추 세부전공으로, 강동훈 교수가 뇌혈관 중재 세부전공으로 부임했다.
2013년부터는 황정현 교수가 주임교수로 부임해 교실의 발전을 이끌었다. 2015년에는 박재찬 교수가 경북대 연구중심병원(심뇌혈관질환 연구 유닛) 육성 R&D 사업 발족에 핵심적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강동훈 교수가 미국 UCLA 로날드레이건 메디컬센터(Ronald Reagan Medical Center)에서 뇌혈관 중재술 연수 후 귀국, 교실의 뇌혈관 중재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016년 2월에 함인석 교수가 정년 퇴임했으며, 2017년 3월 칠곡경북대병원에 처음으로 신경외과가 개소돼 황성규 교수, 박기수 교수가 정식으로 진료를 시작했다. 2018년에는 박재찬 교수가 주임교수로 부임했고 성주경 교수가 퇴임했다. 2019년에는 손원수 조교수가 뇌혈관 세부 전공으로 부임해 본원의 뇌혈관외과팀이 강화됐다. 칠곡경북대병원에 2018년에 박기수 조교수가 뇌종양 세부전공으로, 2020년에 곽영석 조교수가 뇌혈관 세부전공으로 부임해 본격적인 뇌수술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
2020년 박재찬 교수가 진료처장으로 부임하면서 박성현 교수가 주임교수로 부임했다. 또한 소아신경외과의 기틀을 닦고 발전시키는데 헌신해온 황성규 교수가 정년 퇴임했다. 2021년 이영석 조교수가 척추 세부전공으로 부임했고 그 해 12월에는 감마나이프 3000례 기념식을 가졌다. 2022년 윤상열 조교수가 칠곡병원 소아, 종양 세부전공으로 부임했다.
이렇듯 중추신경계 질환 환자의 생사를 다투는 최전선에서 치열하게 노력해온 선배님들의 헌신을 받들어 오늘도 후배들은 신경외과 의사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밤낮없이 응급실에서, 수술실에서, 중환자실에서 분투하며 60여년의 역사를 계속 이어 나가고 있다.